(우 27835)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용화사는 신라 성덕왕 19년에 만들어진 숭덕불상을 모시기 위해 처음에는 미륵불당으로 세워졌다. 하지만 조선 시대 때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배척할 때 절은 없어지고 이석불만 외롭게 서 있다가 1959년에 기해 10월에 한자심에 의해 법당, 요사채를 각 3칸씩 짓고, 1965년 을사 10월에 법당을 중수하고 용화사라 이름 지었다. 경내에는 도지정 제138호 진천 용화사 석조여래입상이 있다. 높이 7m의 커다란 불상으로 타원형의 얼굴에 은근한 미소가 보인다. 목에는 3줄로 새겨진 삼도(三道)가 있고 그 아래에 표현된 목걸이 장식은 얼굴과 함께 불상을 돋보이게 하고 있다. 신체는 부피감이 거의 없는 커다란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옷은 가슴을 드러낸 채 양 어깨에 걸쳐 입었고 하체에는 U자 모양의 주름을 겹쳐 나타냈다. 가슴 앞에 들고 있는 오른손이나, 연꽃을 들고 배에 댄 왼손은 작게 표현되었다. 거대한 크기, 부피감 없는 사각형태, 빈약한 세부표현에서 고려시대 지방화된 불상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공공데이터포털, 한국관광공사의 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여행코스, 축제 정보등을 제공합니다.)
- 유모차대여정보 : 불가
- 신용카드가능정보 : 없음
- 문의및안내 : 043-533-3204
- 주차시설 : 가능
- 쉬는날 : 연중무휴
- 이용시간 : 상시 개방
- 생거진천치유의숲 (진천군 이월면)
- 초평호 미르309 출렁다리 (진천군 초평면)
- 농암정 (진천군 초평면)
- 진천명품휴미락캠핑장 (진천군 백곡면)
- 연곡계곡 (진천군 진천읍)
- 만뢰산 (진천군 백곡면)
- 영수사(진천) (진천군 초평면)
- 서한순 효자문 (진천군 진천읍)
- 성림사(진천) (진천군 덕산읍)
- 진천 정송강사 (진천군 문백면)
-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 (진천군 이월면)
- 진천 이영남 묘소 (진천군 덕산읍)
- 문수암 (진천군 진천읍)
- 진천 길상사 (진천군 진천읍)
- 입 장 료
무료 - 화장실
있음(남/녀 구분) - 이용가능시설
박가범전 / 삼성각 / 여래전 / 지장전
주변 볼거리
SNS.
태그 #진천읍 #사찰
리뷰
[ 정보출처 ]
공공데이터포털
한국관광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