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대동) (우 49521)
두송반도는 부산 사하구 다대포항 동쪽 해안에 위치하며, 약 8천만 년 전인 백악기 말에는 바닷가가 아닌 공룡들이 노닐던 산기슭의 평원지대였다. 두송반도에는 눈에 잘 띄는 붉은색 퇴적층은 물길 주변의 범람된 진흙이 굳어져 만들어진 이암 퇴적층이며, 회색 또는 황갈색의 석회암층은 석회질이 굳어 만들어진 것이다. 두송반도 지질공원에는 크고 작은 물길과 평원에 쌓인 퇴적층, 호숫가 퇴적층, 석회질 고토양, 공룡알 화석, 나무화석, 생흔화석 등 다양한 지질유산이 산재해 있는 곳이다. 과거 지진활동이 기록된 다양한 산출 상태의 쇄설성 암맥과 고지진암이 관찰된다. 이곳에서 관찰되는 캘크리트 복합층은 백악기 당시의 고기후를 유추해 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이기도 하며, 두송반도 일대에 나타나는 다양한 산상의 캘크리트는 국내에서 흔히 찾아볼 수 없는 높은 학술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 국가지질공원 :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뛰어난 지역으로 자연공원법에 따라 환경부 장관이 인증한 공원, 부산 지질공원은 2013년 12곳이 지정되었다
(공공데이터포털, 한국관광공사의 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여행코스, 축제 정보등을 제공합니다.)
- 유모차대여정보 : 없음
- 신용카드가능정보 :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 없음
- 문의및안내 : 부산국가지질공원 051-888-3636
- 주차시설 : 가능(약 60대 / 다대항배후부지 공영주차장)
요금(유료) - 국립청소년생태센터 (부산광역시 사하구)
- 을숙도 들락날락 (부산광역시 사하구)
- 다대포생태탐방로 (부산광역시 사하구)
- 승학산 (부산광역시 사하구)
- 낙동강문화관 (부산광역시 사하구)
- 부산 에덴공원 (부산광역시 사하구)
- 다대포항 (부산광역시 사하구)
- 관음사(부산) (부산광역시 사하구)
- 낙동강하구 (부산 국가지질공원) (부산광역시 사하구)
- 아미산 전망대 (부산광역시 사하구)
- 낙동강하구에코센터 (부산광역시 사하구)
- 통일아시아드공원 (부산광역시 사하구)
- 부산 감천문화마을 (부산광역시 사하구)
- 낙동강 생태탐방선 (부산광역시 사하구)
- 화장실
있음(남/여 구분)
주변 볼거리
SNS.

태그 #사하구 #자연생태관광지
리뷰
[ 정보출처 ]
공공데이터포털
한국관광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