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 32704)
권율장군이치대첩비는 임진왜란 때 권율 장군이 승리로 이끈 이치대첩을 기념하고 있는 비이다. 이치는 배티재 고개의 한자어로 이 고개는 대둔산 중허리를 넘어 금산과 전북 완주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이자 전략상 중요한 곳이었다. 1592년 임진왜란을 일으켜 경상도와 충청도를 휩쓴 왜군이 군량미의 현지 보급을 위해 이 고개를 넘어 호남평야로 진출하려고 했을 때, 권율장군이 동복현감 황진과 군사들을 이끌고 이치를 지켜 왜군의 호남진출을 막았다. 이것이 이치대첩이며 행주대첩, 진주대첩보다 앞서는 임진왜란 최초의 육지에서 승리한 싸움이다. 이 전투에서 조선군이 승리하면서 왜군이 호남진출에 실패했다. 고종 3년(1866) 금성면 상가리에 이치대첩비(梨峙大捷碑)와 대첩사(大捷祠)를 함께 세워 그 뜻을 기렸는데, 1944년 6월 일제에 의해 폭파되었다. 현재의 비석은 1964년에 진산면 묵산리에서 이치를 바라볼 수 있는 산 중턱에 다시 세운 것으로, 연재 송병선이 짓고 송성용이 쓴 비문을 다시 새긴 것이다. 1991년부터 성역화 계획이 수립되어 사당, 비각 및 안내판, 내삼문, 외삼문, 담장을 정비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2000년에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공공데이터포털, 한국관광공사의 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여행코스, 축제 정보등을 제공합니다.)
- 유모차대여정보 : 없음
- 신용카드가능정보 : 없음
- 문의및안내 : 041-750-2273
- 주차시설 : 가능 (소형 10대)
- 쉬는날 : 연중무휴
- 이용시간 : 상시 개방
- 태고사 (금산군 진산면)
- 금산지구별그림책마을 (금산군 진산면)
- 십이폭포(12폭포) (금산군 남이면)
- 적벽강(금산) (금산군 부리면)
- 금산인삼관 (금산군 금산읍)
- 금산 백령성 (금산군 남이면)
- 아인리석탑 (금산군 금산읍)
- 서대산 (금산군 군북면)
- 용강서원 (금산군 제원면)
- 금산 칠백의총 (금산군 금성면)
- 수심대 (금산군 복수면)
- 느티골산림욕장 (금산군 남이면)
- 천내강 (금산군 제원면)
- 탑선리석탑 (금산군 금산읍)
- 이용가능시설
석비(높이 206cm, 너비 72cm) - 화장실
없음
주변 볼거리
SNS.









태그 #진산면 #기념탑/기념비/전망대
리뷰
[ 정보출처 ]
공공데이터포털
한국관광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