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 08807)
서울 남현동 요지는 관악산 끝자락에 위치한 통일신라 토기 가마터이다. 1973년에 처음 발견된 이후 1976년에 서울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를 하였다. 조사 결과 서울 지역에서 처음 확인된 백제 토기 가마터로 알려지면서 1976년에 사적으로 지정하였다. 그러나 2006년에 실시한 서울대학교 박물관의 시굴 조사에서 통일신라시대 가마터의 폐기장임을 확인하면서 이 시기 토기 가마터로 확정하였다. 사당초등학교를 지으면서 가마터 유적이 상당 부분 파괴되었으나 가마 여러 개가 이곳에 밀집되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가마는 연소실 - 소성실 - 연기배출구로 구성된 반구형의 터널형 굴 가마로서 가마의 흔적인 불태운 흙과 재의 범위로 보아 길이 4.5m, 너비 0.7m 정도 규모로 추정된다. 가마 벽체와 바닥은 점토를 발라 만들었으며, 바닥은 약 17도 기울어진 경사 가마이다. 가마 내부와 주변에서 완형 토기 4점을 비롯하여 많은 토기 조각이 출토되었다. 토기 조각은 뚜껑과 사발, 항아리 조각이 대부분이며, 도장무늬가 찍힌 토기 조각이 많은 것으로 보아 7~8세기경에 만든 가마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현기촌하지위(縣器村何支爲)’, ‘성음(性音)’, ‘사지작(舍知作)’ 등을 새긴 명문 토기 조각도 출토되어 당시 토기의 생산과 공급체계, 지방행정 체제를 밝히는 데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공공데이터포털, 한국관광공사의 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여행코스, 축제 정보등을 제공합니다.)
- 유모차대여정보 : 없음
- 신용카드가능정보 : 없음
- 문의및안내 : 서울시 관악구 문화관광체육과 02-879-5607
- 주차시설 : 불가능
- 쉬는날 : 연중무휴
- 이용시간 : 상시 개방
- 안국사 (서울특별시 관악구)
- 남태령고개 (서울특별시 관악구)
- 더클라임 클라이밍 짐앤샵 서울대점 (서울특별시 관악구)
- 관악산자연공원 (서울특별시 관악구)
- 서울 신림동 민속순대타운 (서울특별시 관악구)
- 관음사(서울) (서울특별시 관악구)
- 봉천동 마애미륵불좌상 (서울특별시 관악구)
- 서울 신림동 굴참나무 (서울특별시 관악구)
- 관악산공원 야외식물원 (관악구 신림동)
- 관악산 (서울특별시 관악구)
- 서울 구 벨기에영사관 (현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서울특별시 관악구)
- 효민공 이경직 묘역 (서울특별시 관악구)
- 정정공강사상묘역 (서울특별시 관악구)
- 관음사국기봉 (서울특별시 관악구)
- 입 장 료
무료
주변 볼거리
SNS.




태그 #관악구 #유적지/사적지
리뷰
[ 정보출처 ]
공공데이터포털
한국관광공사